3D인쇄 기술 이용 ‘코로나 백신 패치’ 개발

노스캐롤라이나- 스탠포드 대학 공동연구팀 “피부 부착형 패치, 대량 생산 및 보관과 유통에 용이”

 

사진/ Scientists at Stanford University and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use 3D printer to create vaccine patch. (Photo via UNC-CH)

 

3D인쇄 기술을 이용한 피부부착형 코로나19 백신 패치가 개발됐다. 스탠포드 대학과 채플힐에 위치한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연구팀은 일반 백신주사보다 예방률이 더 높은 3D 인쇄기술이 적용된 ‘백신 패치’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노스캘롤라이나의 비즈니스 저널에 따르면 스탠포드 대학과 노스캐롤라이나 대학 공동연구팀은 미세한 침이 박힌 피부 부착형의 ‘마이크로니들 백신’기술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마이크로니들 백신’은 백신침 한면에 백신 약물을 코팅한 뒤 밴드처럼 피부에 부착하면 체온에 의해 약물이 녹으면서 미세침을 통해 피부안쪽으로 흡수되는 원리다.

공동연구팀은 동물실험결과를 보고하며 “패치부착후 면역반응이 기존 주사형 백신보다 10배 이상 높았다”며 “주사보다 적은 양으로 같은 면역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했다.

또 연구팀은 “보관과 운반이 쉽다”면서 주사형 백신이 제조사에 따라 최적의 온도를 유지해야 하는 점을 보완해 줄 것이며 백신접종률을 높이는 데도 일조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트라이앵글 비즈니스저널은 패치를 개발한 연구팀이 화이자와 모더나의 RNA 백신을 칩으로 만들어 상용화 하기 위한 연구에 돌입했다고 보도했다.

3D 인쇄 기술 수석연구자인 조셉 드시몬 박사는 “패치기술은 주사형 백신에 비해 고통과 불안이 없는 방식”이라며 “패치형 백신이 전세계적으로 개발되는 기술적 기반이 마련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또 “3D 인쇄 기술을 이요한 제조방식이므로 코로나 백신 외에도 다양한 백신에 적용가능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안미향 기자

텍사스N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