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Providence Village HOA 홈페이지
북텍사스 덴턴카운티에 위치한 프로비던스 빌리지(Providence Village)에서 흑인 주민을 겨냥한 인종차별적 정책과 혐오 표현이 조직적으로 이뤄졌다는 의혹이 제기되며 파장이 커지고 있다.
피해 주민들과 공공기관은 해당 지역 주택소유자협회(HOA)와 관리업체 퍼스트서비스 레지덴셜(FirstService Residential)을 상대로 연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정부 보조금 수령자 퇴거 목표”… 93%가 흑인 여성 가정
올해 봄 텍사스 동부 연방지방법원에 접수된 소장에 따르면, 주택조합은 정부 보조금을 통해 임대료를 지불하는 주민들을 표적으로 삼아 퇴거를 시도했으며, 그 대다수가 흑인 여성 가장이었다. 당시 관련 개정안이 통과되면 약 600명의 주민이 집을 잃을 위기에 처할 수 있었으며, 이 중 93%가 흑인이었고 대부분이 여성 단독 세대주였다.
주택조합은 임대주에게 주당 300달러의 벌금을 부과하는 규정 개정을 추진했고, 이를 위해 2주간 매일 자동 이메일을 발송하며 주민들을 설득했다. 일부 주민들은 집집마다 방문하여 서명을 요구한 것으로 드러났다.
2021년부터 SNS를 중심으로 “섹션8(저소득층 주거보조 프로그램) 때문에 동네가 망가졌다”, “과거에는 원하지 않는 이웃을 공동체가 몰아냈다”는 글이 올라오며 온라인 공간에는 “시신 운반차로 나가게 될 것”이라는 위협까지 등장했다.
한 주민은 소장에서 “아이들을 수영장이나 공원에 보내지 않았다. 매일 지옥에 사는 기분이었다”고 진술했다.
미국 주택도시개발부(HUD)는 수년에 걸친 조사 끝에 올해 초 HOA를 인종차별로 기소하고 법무부에 사건을 이첩했으나, 한 달 후 별다른 설명 없이 사건을 철회해 논란이 일었다.
주민 측 변호인인 댈러스의 변호사 로라 베샤라(Laura Beshara)는 “주택조합이 집단적으로 흑인 주민을 내쫓기 위해 계획적 행동을 했다는 점에서 매우 충격적”이라며, “연방법에 따라 명백한 차별로 규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사건이 논란이 되자, 텍사스 주의회는 2023년 저소득층 입주자에 대한 결제 방식 차별을 금지하는 법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HOA는 공식적으로 계획을 철회했지만, 2024년에는 ‘1가구당 임대 주택 1채 제한’ 조항을 도입, 동일한 효과를 노렸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 조항은 대부분의 보조금 수령자가 몇몇 대형 임대인으로부터 주택을 임차하고 있다는 점을 이용해 우회적으로 퇴거를 유도하는 방식이었다.
이번 소송은 전국적인 주목을 받고 있으며, 민권단체들은 “주거권 침해를 넘어선 구조적 인종차별”이라며 사법당국의 적극적 개입을 촉구하고 있다. 소송에 참여한 7명의 원고는 정신적 고통과 재정적 피해를 호소하며 미확정 금액의 손해배상을 청구 중이다.
안미향 기자 amiangs0210@gmail.com